국내외적으로 탄소 중립이 강조되면서 국제 LNG 가격은 우크라이나 전쟁 전부터 오르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2021년 3월 백만Btu당 6.1달러에서 12월에는 27.2달러까지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지난해 초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뒤 9월엔 69달러를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LNG 가격이 1년 반 만에 11배 넘게 올랐지만, 국내 도시가스 요금은 지난 2020년 8월 이후 1년 8개월간 동결되다 지난해 4월부터 10월 사이 38% 인상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LNG 도입 가격과 판매 가격의 격차는 고스란히 가스공사의 미수금으로 쌓였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까지 10조 원, 이 미수금은 소비자들이 가스공사에 갚아야 하는 빚인 셈입니다. <br /> <br />[손양훈 /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 : (가스공사는) 적자를 끌어안고 한전처럼 채권 발행해서 부채를 누적하는 게 안 돼요. 미래의 소비자들이 그 미수금을 갚아줘야 돼요. 이건 법으로 정해져 있는 겁니다.] <br /> <br />가스공사는 20년 이상 장기계약 물량을 80%, 단기 물량을 20%로 조절해 국제 LNG 가격 변동에 대응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장기 물량도 환율과 유가에 연동되고, 특히 지난해에는 4분기 들어 단기 물량이 확대됐던 게 미수금 증가의 원인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가스공사의 미수금을 오는 2026년까지 해소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기 위해선 올해만 도시가스 요금을 메가 줄당 10.4원 올려야 합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인상액의 2배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더구나 올해 1분기엔 가스 요금을 동결하기로 한 만큼 2분기 이후 큰 폭의 인상이 불가피합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더라도 국제 LNG 가격 상승세는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유승훈 /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 학과 교수 : 중국이 코로나19 경제 봉쇄를 해제해서 중국에서 천연가스 수요가 폭발할 걸로 예측이 되고 있고, 2025년까지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난다 하더라도 천연가스 가격이 안정화되기는 굉장히 어렵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 2년간 우리나라가 주택용 가스요금을 38% 올리는 사이 영국은 264%, 독일은 358%를 올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가스는 물론 전기 요금까지 인상을 더는 미룰 수 없게 된 지금 상황이 에너지 가격을 현실화하고 에너지 절약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홍구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13010133575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